마이크로컨텍솔 [종목분석] 25년 2월 14일 상한가

2025. 2. 14. 13:54카테고리 없음

2025년 2월 14일 오전 10시 17분 기준으로, 마이크로컨텍솔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9.95% 상승한 7,810원을 기록하고 있는데요.

 

마이크로컨텍솔이 호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차세대 메모리 기술인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 메모리 양산에 본격적으로 돌입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CXL 메모리는 CPU와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 데이터센터, 인공지능(AI), 고성능 컴퓨팅(HPC) 등의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능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DRAM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고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세대 메모리 시장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럼 마이크로컨텍솔의 기업재무와 성장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크로컨텍솔 기업 분석 보고서

기업 소개: 마이크로컨텍솔은 1999년에 설립된 반도체 및 전자부품 검사에 필수적인 부품인 아이씨소켓(IC Socket)과 써멀 프로텍터(Thermal Protector), 산업용 전자개폐기 등을 제조하여 납품하는 기업입니다. 세미콘 사업부문의 주요 품목으로는 아이씨소켓, 번인소켓, 모듈소켓이 있으며, 어플라이언스 사업의 주요 품목으로는 써멀프로텍터, 산업용 전자개폐기, 컨택 어셈블리가 있습니다. 2023년부터 LS ELECTRIC과 협력하여 어플라이언스 사업부문을 확장 중입니다.

기업 개요

설립연도: 1999년

산업 분야: 반도체 및 전자부품 제조

주요 제품: 아이씨소켓, 번인소켓, 모듈소켓, 써멀프로텍터, 산업용 전자개폐기, 컨택 어셈블리

시장 점유율: 상세한 시장 점유율 정보는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재무제표 분석 (최근 3년)

연간 재무제표 (단위: 억 원)

항목 2023년 2022년 2021년
매출 648 611 614
영업이익 74 79 79
순이익 55 75 75

최근 1년간 분기별 재무제표 (단위: 억 원)

항목 2024년 3분기 2024년 2분기 2024년 1분기 2023년 4분기
매출 184.6 158.2 136.3 169.0
영업이익 26.3 20.5 14.6 12.6
순이익 19.6 15.3 10.0 10.1

산업 전망

반도체 및 전자부품 산업은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D램 수요 증가와 고대역폭메모리(HBM) 투자 확대 등으로 인해 관련 부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정성과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은 산업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기업 가치 및 투자 매력도

PER (주가수익비율): 6.75배

PBR (주가순자산비율): 0.91배

ROE (자기자본이익률): 14.22%

배당 수익률: 1.33%

투자 매력도 점수: 75/100점

투자의 전망

마이크로컨텍솔은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번인 소켓 수요 회복이 기대되며, 미국 및 중국 등 해외 고객사로의 공급 확대와 비메모리용 소켓, 메모리용 러버 소켓 등으로 매출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의 리스크

마이크로컨텍솔에 대한 투자에는 다음과 같은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반도체 생산량에 따른 실적 변동성, 기술 발전 속도로 인한 제품 수명 주기의 단축,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정성 등이 있으며, 이 로 인해 투자자는 신중한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및 투자 판단

마이크로컨텍솔신중한 투자가 필요한 기업입니다.

추천 사유: 삼성전자와의 협력으로 번인 소켓 수요 회복이 기대되며, 해외 고객사 확대 및 신제품 개발을 통해 매출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반도체 시장의 변동성이 크며, 글로벌 공급망 이슈 및 기술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